알쏭달쏭한 주택면적 바로 알기!

2022.09.22

1. 분양 안내서에 쓰이는 면적의 정의

아파트를 분양 받으려고 모델 하우스를 방문하거나 입주자 모집공고를 보다 보면 다양한 주택면적이 표기되어 있는데 그것이 무엇을 뜻하는지 아리송할 때가 있습니다. 이번 기회에 분양 안내서에 나오는 주택면적이 정확하게 어떤 것을 의미하는지 확실하게 알아보세요!

  • 주택형 : 세대별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표기한 면적
  • 전용면적 : 벽으로 둘러 쌓인 방, 현관, 거실, 주방, 욕실 등 실제 입주해서 이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집의 내부로 발코니는 제외
  • 서비스면적 : 전용면적에 포함되지 않는 발코니 등의 면적으로 확장이 가능
  • 실면적 : 전용면적과 서비스 면적의 합으로 실면적이 넓으면 분양가가 낮아지는 효과가 있음
  • 주거공용면적 : 전용면적 외에 2가구 이상이 공동으로 사용하는 계단, 승강기, 복도 등을 더한 면적
  • 공급면적 (분양면적) : 실질적인 집 내부면적인 전용면적과 공동으로 사용하는 주거공용면적을 합한 면적
  • 기타공용면적 : 관리실, 노인정, 놀이터, 커뮤니티시설 등 건물 외부에 있는 부대시설의 면적
  • 계약면적 : 공급면적과 기타 공용면적을 합한 면적에 지하 주차장을 합한 면적
  • 대지지분 : 총대지면적을 총공급면적으로 나눈 것. 즉, 가구별로 갖게 되는 토지의 면적을 나타냄

구분으로 표기되는 “OO주택형”은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표기합니다.